조선어/ English/ Русский/ 中国语/ 日本語 싸이트목록
 주체112(2023)년 4월 2일
가
  • 절세의 위인을 우러러
    •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
  • 기사
  • |
  • 기사
    • 《우리민족끼리》기사
    • 조선중앙통신
    • 로동신문
    • 민주조선
    • 통일신보
    • 추천기사
    • 성명,주요문건
    • 주요기사
  • 도서,잡지
  • |
  • 사진
  • |
  • 음악
  • |
  • 록음물
  • |
  • 우리민족끼리TV
  • |
  • 조선중앙TV
  • |
  • 시사만화
  • |
  • 통일신보
  • |
  • 독자투고
  • 상식
  • |
  • 조선말대사전
  • 전체
  • 혁명력사
  • 철학
  • 경제학
  • 법학
  • 언어학
  • 문학
  • 력사학
  • 고고학
  • 민족고전학
  • 민속학

    [90권] 《조선음악사》(리조-근대편)

    이 론문은 14세기말부터 20세기초엽에 이르는 시기 조선에서의 음악발전과정을 력사적으로 종합체계화한 연구론문입니다.

    모두 4개의 편으로 구성된 도서에서는 해당시기의 음악발전사를 리조전반기(14세기말-16세기), 리조후반기(17-19세기중엽), 리조말기(19세기중엽-20세기초), 일제식민지통치초기(20세기초-1920년대전반기)로 나누어 고찰하고있습니다. 도서에서는 리조전반기에 들어와 많은 발전을 이룩한 조선의 민족음악이 봉건제도가 문란되여가던 리조후반기에 일정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후 근대문물이 보급됨에 따라 근대적인 양상을 띤 음악형태들이 새로 출현하였다는것, 나라가 일제식민지로 전락된 20세기초이후 조선에서 반일애국사상을 담은 음악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였다는것을 풍부한 자료들에 토대하여 해설하고있습니다.

    도서는 조선중세 및 근대시기의 500여년간의 음악발전과정을 음악형태와 악제, 악보, 악기, 인물 등에 걸쳐 깊이있게 연구분석하고있는것으로 하여 조선력사연구에서 커다란 가치를 가집니다.

    [77권] 《조선무용사연구》

    이 론문은 원시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조선에서 창조된 민족무용유산들을 발굴정리하고 그에 기초하여 조선의 무용력사를 과학리론적으로 종합체계화한 연구론문입니다.

    론문은 총 3개의 편, 10개의 장과 43개의 절로 구성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조선에서 민속무용과 궁중무용의 발생발전과 그 과정에 생겨난 무용기록보의 창제, 무용리론의 발전, 직업적인 무용가들의 출현 등에 대하여 력사 및 회화자료, 현지발굴자료들을 통하여 심도있게 고찰하였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무용작품들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해설하였습니다.

    도서는 조선민족무용의 형성발전과 우수성을 력사적으로 깊이있게 리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것입니다.

    [72권] 《조선체육사》1

    이 론문은 원시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조선의 체육발전과정을 력사적으로 종합체계화한 연구론문입니다.

    도서는 조선의 민족체육을 원시 및 고대, 세나라 및 발해, 후기신라시기, 고려시기, 리조전반기, 리조후반기, 근대시기로 나누어 총 6개의 편에서 취급하고있습니다. 론문에서는 원시 및 고대부문에서 고고학적발굴자료와 민속 및 력사사료들에 기초하여 조선민족체육의 연원을 과학적으로 고증한데 기초하여 중세이후 고구려를 중심으로 하여 발전하여온 조선민족체육의 발전력사을 시대적으로 깊이있게 고찰하였습니다.

    도서는 조선민족체육의 연원과 우수성, 그 발전력사를 시대별로 폭넓고 깊이있게 리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될것입니다.

    [62권] 《민속학연구론문집》1

    이 론문집에는 《열두달민속이야기》, 《조선강점시기 일제가 감행한 미풍량속말살책동》등의 연구론문들이 실려있습니다.

    론문 《열두달민속이야기》는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조선의 민속명절과 놀이, 철음식과 로동생활풍습 등을 달별로 묶어 해설하고있으며 그와 관련한 재미있는 일화들도 적지 않게 안받침하였습니다. 론문은 마지막부분에 조선민속을 리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부록으로 첨부하였습니다.

    론문 《조선강점시기 일제가 감행한 미풍량속말살책동》은 과거 일제가 조선인민앞에 저지른 죄악의 하나인 우리 인민의 민족적미풍량속에 대한 말살책동의 죄악상을 무단통치, 《문화통치》, 파쑈통치시기로 나누어 시기적특성에 따라 폭로비판한 론문입니다. 총 4개장으로 구성되여있는 론문에서는 일제식민지통치시기 조선인민의 미풍량속에 대한 말살책동이 일제의 민족동화정책의 중요한 고리의 하나였다는데 대하여서와 일제의 미풍량속말살책동의 시기별변화에 대하여 자료적으로 심도있게 고증하였습니다.

    도서는 조선의 민속전통을 통속적으로 쉽게 리해하며 일제가 조선에서 감행한 포악한 미풍량속말살책동에 대한 폭넓고 구체적인 지식을 가지는데 큰 도움을 줄것입니다.

    [60권] 《조선가족생활풍습사》(원시-고려)

    이 론문은 원시부터 고려시기까지의 장구한 력사적기간에 우리 인민들속에서 창조되고 계승발전하여온 가족생활풍습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한 론문입니다.

    론문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우리 나라 가족생활풍습의 유래와 력사적변천과정을 통하여 조선가족생활풍습의 유구성과 고유성, 우수성을 밝히는데 기본을 두면서 지배계급의 허례허식과 리기심이 가족생활풍습에 미친 부정적영향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밝히였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연구가 적게 진행되였던 원시, 고대부분과 성씨와 이름짓기풍습 등에 대한 연구사업도 보다 심화시켰습니다.

    이 도서는 조선의 가족생활풍습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폭넓고 깊이있게 가지는데 도움을 줄것입니다.

    [59권] 《조선교예사연구》(원시-근대)

    이 론문은 원시로부터 근대까지에 창조된 우리의 민족교예유산들을 모두 수집정리하여 과학적으로 체계화한 론문입니다.

    론문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지난 시기 고구려무덤벽화들에 형상되여있는 교예작품들만 소개한 제한성을 극복하고 원시 및 고대에 그 연원을 두고있는 조선민족교예의 유구성을 밝히는것과 함께 다양한 민족교예의 종목들과 그 변화발전과정을 여러 력사적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심도있게 해설론증하였습니다.

    이 도서는 조선인민이 창조하고 발전시켜온 민족교예의 유구성과 우수성, 단계별발전과정을 깊이 리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것입니다.

    [53권] 《우리 나라의 민속유산》

    이 론문은 조선인민이 창조한 민속유산들을 몇개의 부분으로 갈라 력사적으로, 과학리론적으로 연구분석한 론문입니다.

    론문은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해당 민속유산들에 대한 력사적개관을 주고 지방별특성, 민족적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평가한데 기초하여 민속유산에 대한 리해를 돕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그것을 다른 사회적현상과의 련관속에서 함께 취급하였습니다.

    도서는 조선인민이 창조한 민속유산들의 계급적성격과 지방별특색, 민족적특성에 대한 리해를 깊이 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34권] 《조선민속놀이편람》

    이 론문은 예로부터 계승되는 조선의 민속놀이, 오늘에는 전하지 않지만 지난 시기에 널리 보급되였던 민속놀이, 해방후 새로 창조된 민속놀이들을 종합적으로 묶어 소개한 론문입니다.

    론문은 총 3개의 편으로 구성되여있으며 220개 종목의 민속놀이가 놀이명칭을 기준으로 하여 배렬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매개 종목들에서 해당 민속놀이의 유래와 방법, 일화 등에 대하여 력사사료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론증하고 그 놀이의 지방별특성에 대하여서도 고찰하였습니다. 그리고 항목에 따르는 삽화자료들도 안받침함으로써 해당 놀이를 보다 쉽게 직관적으로 리해할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도서는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놀이와 해방후 새로 창작보급된 민속놀이들을 폭넓고 깊이있게 리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29권] 《지방음식편람》

    이 론문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조선민족음식의 지방적특색을 구체적이면서도 통속적으로 알기 쉽게 서술한 론문입니다.

    론문은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수많은 음식들가운데서 1 080여점의 대표적인 지방음식들을 따로 골라 크게 도별로 나누어 묶어주었습니다. 론문에서는 해당지역 주민들이 즐겨 만들어먹은 특색있는 주식물과 부식물을 다시 종류별로 세부적으로 나누고 그에 해당한 다양한 음식물의 가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음식의 마지막부분에서 그 음식과 관련한 민속자료들을 간단히 해설해줌으로써 지방음식의 특색을 더 깊이있게 리해할수 있게 하였습니다.

    도서는 조선의 전통적인 지방음식에 대하여 풍부한 지식을 가지도록 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을 주게 될것입니다.

    [25권] 《민족음악사에 비껴있는 일화》

    이 론문은 고대로부터 현대초기까지의 장구한 력사적기간에 조선인민들속에 배출된 음악예술인들과 그들의 작품창작일화, 민요와 민족악기의 유래에 대하여 소개평가한 론문입니다.

    도서는 약 200개의 소제목으로 구성되여있으며 발생시기와 연원을 정확히 밝힐수 없는 일부 민요와 민족악기, 민족기악곡에 대해서는 뒤에 따로 부록을 주었습니다.

    론문에서는 정사, 야사, 개인문집을 비롯한 옛문헌들과 연구자료, 구전자료들에 전해오는 우리 인민의 민족음악사에 깃들어있는 일화들을 시기별, 년대순으로 묶었습니다. 여기에서는 음악창작가들과 명가수들, 민족기악명수들, 음악리론가와 음악교육자들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가무창작가들과 무용수들의 일화도 실었습니다. 또한 우리 민족음악의 발생발전과정에 나온 작품창작일화와 민족악기, 민족기악곡의 유래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이 도서는 조선의 력대음악예술인들과 음악작품들에 깃든 일화와 민요, 민족악기의 유래 등에 대한 리해를 크게 넓히는데 많은 도움을 줄것입니다.

    [24권] 《조선악기발달사》

    이 론문은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기간에 조선에서 민족악기발전과정을 력사적으로 고찰한 연구론문입니다.

    론문은 크게 고대시기, 삼국시기, 발해 및 후기신라시기, 고려시기, 리조시기로 구분되여있습니다.

    론문에서는 우리 선조들이 만들어쓰던 민족악기들을 시대별로, 나라별로 남김없이 발굴정리하여 종합체계화하고 우수한 민족악기에 의한 기악의 발전과 이웃나라들에 준 영향, 대표적인 기악명수들과 연주법 등에 대해서도 새롭게 고증하였습니다.

    이 도서는 조선민족악기의 연원과 변화발전에 대한 리해를 깊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우리민족끼리

  • 혁명활동소식
  • 회고록《세기와 더불어》
  • 항일빨찌산참가자들의 회상기
  • 《우리민족끼리》기사
  • 《우리민족끼리》TV
  • 전자그림책
  • 시사만화
  • 음악
  • 상식
  • 도서
  • 련재도서
  • 화보,화첩
  • 록음물
  • 로동신문
  • 조선중앙통신
  • 통일신보
  • 조선중앙TV
  • 사진
  • 독자투고글
  • 독자감상글
  • 독자사진
  • 상품소개,주문봉사
  • 조선미술
  • 조선사회과학학술집

홈페지봉사에 관한 문의를 하려면 여기를 눌러주십시오
Copyright © 2003 - 2023 《조선륙일오편집사》 All Rights Reserved
辽ICP备15008236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