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5 회)
제 4 장
35
(2)
《우리 노래 하나 같이 부를가. 〈남산의 푸른 소나무〉를 알거요.》
《예,
《난 요즘 때없이 이 노래를 속으로 불러보군 하오. 이 노랠 부르면 조선혁명의 전 력사가 돌이켜지면서 어떤 신념과 의지를 가지고 혁명을 해야 하는가를 억척같이 새기게 되지. 그러면 자연히 힘과 용기가 배로 강해져 일이 힘든줄 모르게 되오.
중건지배인, 내 목소리가 좋지 못해서 그러는데 동무가 선창을 떼라구.》
《알겠습니다.》
남산의 저 푸른 소나무가
눈서리에 파묻혀서
천신만고 괴롬받다가
탁하고 거센 김중건의 성음이 수화구로 흘러나오기 시작하였다.
양춘을 다시 만나 소생할줄을
동무야 알겠느냐
황철이 걸어온 산소열법개척의 한걸음한걸음에는 그들이 흘린 고결한 피와 땀이 스며있다. 앞으로 승리를 위해 또다시 걸어야 할 길은 여전히 전인미답일것이며 그 길에서 또 어떤 값비싼 대가를 치르어야 할지 누가 알랴.
그러나 그들은 계속 걸어야 하며 끝까지 걸어가야 할것이다. 래일의 부강조선, 부강조국을 위하여! 자주적인 삶과 행복을 위하여! 이 노래에 담겨진 사상과 뜻이 김중건이네들에게 정바로 심어진다면 이들은 웃으며 일어나 승리를 위하여 기꺼이 돌격전에 나서리라.
하여
이 한몸 싸우다 쓰러지면
대를 이어 싸워서도
금수강산 삼천리에
양춘을 찾아올제 독립만세를
조선아 불러다오
노래가 끝났다. 전류음이 흐르는 소리만이 울린다. 그때 흑- 하고 흐느끼는 소리가 흘러나왔다. 뒤따라 웨치는듯한 목소리가 수화구를 꽉 채우며 울리였다.
《
숙연한 정적이 흘렀다.
《요즘 나도 나이가 들어 그런지 힘들 때가 더러 있소. 그럴 때면 휴식을 하고싶고. 나도 인간인데 왜 그렇지 않겠나. 그러나 인민이 잘살 날을 당겨오자면 힘들다고 쉬면 되겠나. 내가 일을 많이 해야 그만큼 조국의 전진이 더 빨라지오.
중건지배인, 산소열법개척에서 승리자가 되는것은 단순히 선철덩어리를 뽑는 문제가 아니요. 이 과정을 통하여 대중의 창조적적극성과 혁명열의를
불러일으켜 그들
《그렇게 하겠습니다. 믿어주십시오,
《그래야지. 난 믿소. 쇠물은 꼭 나올거요. 5평방에서 나왔는데 10평방이라고 왜 안나오겠나. 중건이, 내 새해가 잡히면 한번 황철에 가겠소. 그때 우리 회포를 나누자구.》
김중건의 힘찬 대답을 들으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