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4 회)
제 3 장
2
(2)
부총장은 망연자실하여 멍하니 굳어져있다가 담배를 꺼내여 붙여물고 오락가락했다. 담배 한가치를 다 태우도록 결심을 못한 그가 돌아보니 녀인은 어느새 어둠속으로 사라지고있지 않는가. 자기가 주저하고있는것을 눈치챘던것같았다.
그제야 부총장은 결심을 내리고 황급히 따르며 소리쳤다.
《아주머니, 그 편지를 주시오.》
그러나 모든것을 체념한듯 녀인은 캄캄한 어둠속으로 사라져버리고말았다. …
《지금 생각해보면 제가 큰 실책을 범했습니다. 그 녀성의 이름만이라도…》
부총장은 《그만두시오!》 하시는
《이게 그래 실책이란 말로 굼때버릴 일입니까? 어쩌면 그럴수 있습니까? 어쩌면, 왜 나한테 꼭 전해주겠다고 편지를 받아놓지 않았습니까? 왜 주저했는가?
편지를 쓰기까지, 그 편지를 가지고 여기로 오기까지 마음의 고충이 얼마나 컸겠습니까. 되돌아서는 걸음이 아마 죽기보다 더 괴로웠을겁니다.》
《동무는 그렇게도 나를 모르겠는가? 동지들의 아픔, 인민들의 아픔을 모른다면 내가 무슨 당일군이고 혁명가고 인간이겠는가? 그렇게 말하는데도 웃분, 웃분하면서 내 주위에 울타리를 쳐놓고 그래 인간
무섭게 격노하신
《내 언제부터 동무한테 말하고싶었소. 나는 손잡고 일하는 나의 동지들에게 내 마음을 다 터놓는데 동무는 나를 인간으로, 동지로가 아니라 관직으로 대한단 말이요, 관직으로!
말해보시오, 나한테 뭐가 못미덥습니까, 뭐가? 나한테 뭐가 어려워서 그렇게도 재고재고 또 재는가 말입니다.》
《안됐습니다, 큰소리를 쳐서.》
부총장은 그만에야
《아닙니다, 제가, 제가 정말 잘못했습니다.》
해방후 어느 명절날
《울지들 말아, 내 자주 온다. 자주 오겠다는데. 나두 너희들과 헤여지고싶지 않다.》
그러시는
《저 애들이 왜 이렇게 나를 울리오?》
어머님께서도 흐느껴 우시였다.
그날밤
《…그러면 부모없는 그 애들이 늘 아버지가 곁에 있다는 생각에 얼마나 좋아하겠습니까. 오늘
이렇게 되여 만경대혁명학원에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