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0 회)
제 1 장
10
승용차는 널직한 토사도로의 량옆에 3층, 4층주택들이 아담하게 늘어선 읍거리에 들어섰다.
차창밖을 살피시던
차에서 내리신
국수집 마당에는 《향토꾸리기중앙지휘부》라는 글발이 새겨진 표말이 세워져있었고 그옆에는 《향토꾸리기경쟁도표》가 벽보처럼 두어기장되게 그려져있는데 거기에는 각 리의 이름들이 새겨져있었다. 청년들 여럿이 경쟁도표판옆에 방금 도착한듯 한 화물차의 적재함에서 대형전경도를 내리워 세우느라 벅적대고있었다.
청기와를 얹은 정각밑에 《삼복리 〈삼화정〉 전경도》라는 글발이 씌여져있었다. 잇달아 《삼화정》밑에 오작교와 무도장의 전경도도 그려져있었다. 한쪽에서는 청년들이 《목민심서》를 끈으로 포장한것을 퇴마루에 쌓느라 땀을 빼고있었다.
지나가던 사람들도 줄레줄레 모여와 겨끔내기로 혀를 찼다.
《아니, 지나가던 풍수쟁이가 세가지 화를 면치 못한다고 붙인 옛날 이름을 되살려서 〈삼화정〉을 세운다는건 뭐요?》
지팽이를 짚은 늙은이가 안경을 추슬러올리며 청을 뽑았다.
《허, 이건 뭐노? 도적으로도 소문난 우리 국수집이 뭐 〈향토꾸리기중앙지휘부〉? 그러니 이제부턴 농마국수맛도 못본다 이 소린가?》
《아, 〈향토꾸리기〉인지 뭔지 하는 지휘부야 저기 려관에 자리잡아도 되겠는데 하필 국수집을 타고앉을건 뭐람.》
《려관에 들었댔는데 려관식사가 입맛을 돋구지 못해 소문난 국수집으로 옮겼다질 않소.》
《거, 삼복리에서두 혼나겠수다. 이 바쁜 농사철에 오작교요, 무도장이요 하는걸 만드느라면…》
국수집 마당가를 나서신
허담은 오늘처럼 격노하신
《어떻습니까? 이 군만이 아닌 전국각지의 농촌들에서 벌어지는 〈향토꾸리기〉와 혜산의 대기념비건립, 〈목민심서〉와 〈항일빨찌산참가자들의 회상기〉… 왜 이런 상반되는 사태가 빚어지는지 인생대학 학생으로 생각되는바가 없습니까?》
《오늘 여기 와서야 〈향토꾸리기〉란 뭔지 표상적으로나마 알게 되였는데 확실히 문제가 있는것같습니다.》
《옳게 보았습니다. 여기엔 심각한 정치적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시간을 내여 지방실태를 알아보려고 왔는데 사태는 매우 엄중합니다.》
《외교사업을 하느라 자기 집뜨락을 살필새가 없었던것같은데 나는 외교전도 집뜨락에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그리고 〈10개년계획〉으로 벌리는 〈향토꾸리기〉는 혁명의 계승자들인 우리 청년들을 어느 길로 끌고가고있습니까? 아까 보지 않았습니까
〈목민심서〉필독바람에 대해서 말한다면 그것은 명백히 봉건유교사상을 되살리는 행위입니다.
혁명전통은 로동계급의
《나는 당중앙위원회에서 사업하면서 깊은 밤과 이른새벽이면 정원에 나가 사계절 변함없이 푸르싱싱한 소나무를 보며 백두산의 천고밀림을 그려보는 때가 많습니다. 소나무는 비바람, 눈보라의 광풍속에서도 변함없이 푸른빛을 잃지 않는데 부평초는 왜 흐르는 물결에 순종하며 떠살이하는가, 뿌리때문입니다. 그래서 나는 소나무와 부평초의 뿌리를 두고 우리 조국과 민족의 운명인 혁명의 뿌리를 생각하군 합니다.》
우리 당 혁명전통에 대한 열렬한 사랑, 그 뿌리, 그 피줄기를 목숨바쳐 지키려는 사생결단의 의지, 그 뿌리를 대를 이어 순결하게 빛내려는
불변의 신념이 격하게 고동치는
떼장같은 구름이 련련히 뻗은 산허리를 휘감는 저 먼곳을 응시하시던
《조선혁명은
좀처럼 흥분하는 일이 없는 허담은 너무도 강렬한 충동에 휩싸였다. 거기에
유일항로!
《내가 오늘 유일이라는 말을 처음했는데 나는 이 말을 마음속에 새긴지 오랩니다. 유일이라는 말은
《나의 한생은 조선혁명의 이 유일항로에 바쳐질것입니다. 이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