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회)
제 1 장
1
(2)
잠시 동안을 두고 어둠에 잠긴 창밖으로 눈길을 주시던
《아동단원 김금순이를 알지요? 항일혁명이 낳은 나어린 투사말입니다.》
뜻밖의 화제에 김태호는 일순 당황해졌다가 생각을 가다듬었다.
《예, 당시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고 이번에
김태호의 귀전에는 금시 그날의
《…우리가 동만에서 투쟁할 때 유격구에 김금순이라는 9살나는 소녀가 있었는데 그 애가 비밀련락임무를 수행하고 돌아오다가 백초구에서 일제놈들에게 체포되였습니다. 일제놈들은 아이가 어리다고 얕잡아보고 얼리기도 하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위협도 하면서 유격구의 비밀을 알아내려고 하였으나 그애는 끝내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사형장에 끌려나가서까지도 일제헌병놈들이 비밀만 대면 놓아준다고 얼렸으나 소녀는 도리여 놈들의 낯짝에 침을 뱉으며 욕설을 퍼붓고 장렬하게 최후를 마쳤습니다. 9살난 소녀가 적들에 의하여 총살당하는 순간까지 꿋꿋이 싸운 이 영웅적사실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아동단원 금순이의 혈육을 찾지 못했습니다. 해방후부터 계속 찾았지만 아직도 나타나지 않는것으로 보아 아마 모두 잘못되였는지. 그 애에게 한점 혈육이라도 있었으면 좋으련만…》
김태호는 눈시울이 달아올랐다.
금순이가 희생된 때로부터 30여년… 옹근 한세대가 지난 오늘까지 아홉살난 아동단소녀를 잊지
못하시는
《
김태호는 순간 얼떠름해졌다.
《금순이… 혈육을 말입니까?》
그러니 자기를 부르신것은…
《내가 이밤중에 과장동무를 찾은것은 그것때문입니다. 나는 어쩐지 금순이의 혈육이 분명 어디선가 살아있을것만 같은 그런 예감이 자꾸만 드는군요. 왜냐면 한번도 보지 못한 금순이의 얼굴이 점점 또렷해지고 들어본적 없는 그 목소리까지 방불하게 들려오군 하는것이 참 이상하단 말입니다.》
갑자기
《내 말이 좀 우습게 들리지 않습니까?》
《예? 아니, 무슨 말씀을…》
김태호는 어정쩡해져서 정답을 드릴수가 없었다.
《금순이가 나에게 무엇인가 끊임없이 소곤거리는것같단 말입니다. 금순이뿐 아니라 그 나날의 아동단원들의 모습이 자꾸만 눈앞에 얼른거립니다. 앞으로 〈유격대의 오형제〉란 영화가 나오는데 한번 보십시오. 거기에 아동단원들의 생활을 그린 장면이 많이 나올겁니다.》
그는
혈육처럼 다심하신
《
《아홉살… 그 어린 나이에 왜놈들의 총구앞에서 〈조선혁명 만세!〉를 불렀으니 얼마나 장합니까. 우리 학생소년들도 장차 그런 금순이가 돼야겠는데… 아니, 될겁니다. 꼭!》
《혁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