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7 회)
제 5 장
북두칠성 빛나는 밤
1
(1)
캄캄한 밤길…
우중충한 숲속길을 따라 한대의 승용차가 달리고있었다.
수수백년을 자란 천고밀림의 이깔나무들이 전조등빛에 끝없이 다가들었다가는 멀어지고 또 다가들고 멀어진다.
이 시각 리철봉에게는 빽빽한 숲의 일목일목들이 살아숨쉬는 병사들처럼 느껴지였다. 그는 병립대형으로 정렬한 대오의 한복판을 사열하는 심정으로 키높이 자란 거목들을 세여보았다.
둘, 넷, 여섯… 스물… 한개 소대…
하나, 둘, 셋… 한개 중대…
이렇게 개개의 나무를 세여 분대를, 분대를 묶어 소대를, 소대를 묶어 중대를 만들어보고 대대를 묶어 려단을 만들어보기도 하면서 한동안이나 차를 타고왔는데 아직도 군단을 다 만들지 못했다. 도대체 나에게 맡겨진 군단이라는 대오는 얼마나 거대한가!
리철봉은 도무지 세여낼수 없을것만 같은 밀림의 거창함에 지그시 위압되였다. 해군사령부 참모장이라는 직무도 아름찼던 자기의 어깨에 한개 군단의 지휘관이라는 책임이 지워진것이 지금도 꿈만 같았다.
지금으로부터 두달전, 리철봉은 임철정치위원으로부터 류다른 지시를 받았다. 안해와 아들을 모두 데리고 민족보위성 휴양소에 가되 학습장을 한배낭쯤 넣고 가라는것이였다. 처음에는 휴식을 가서도 헛시간을 보내지 말고 짬짬이 학습을 하라는 뜻으로 들었다. 하지만 정작 휴양소에 도착해보니 《짬》이라고는 도무지 찾을수 없는 일과표가 그를 기다리고있었다.
6시 기상…
아침운동 및 산보…
호수가에서의 낚시질…
점심식사후에는 등산…
오후에는 영화관람…
19시 저녁식사…
휴양소장이라는 직무에는 좀 어울리지 않는다고 할만큼 까다로와보이는 그곳 책임자는 이상의 일과를 1분 1초도 어겨서는 안되겠다고 그루를 박으면서 저녁식사후에는 가족들을 휴식시키고 따로 해야 할 사업이 있다고 하는것이였다.
휴양소의 첫 하루가 꿈같이 흘러갔다.
남편과 늘 헤여져살다싶이하던 박금월이나 외가집에 가있던 성호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있게 된것만도 너무 좋아서 어쩔줄을 몰라했지만 리철봉은 온 하루를 뜨아한 기분으로 보내였다. 저녁식사후의 사업이란 도대체 무엇일가 하는 의혹이 가슴에 맺혀 내려가지 않았던것이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저녁식사가 끝났을 때 휴양소장이 리철봉을 찾아왔다.
리철봉은 휴양소장을 따라 자기 가족이 든 호동과 약간 떨어진 2층짜리건물로 들어갔다. 거기서는 뜻밖에도 최현 민족보위상과 김철호가 그를 맞아주었다.
내외가 함께 와있는것을 보면 그들도 가족휴양을 온것이 분명한데 어째서 하루종일 한번도 보지 못했는지 알수 없었다. 휴양소구내는 그리 넓지도 않은데…
의문을 풀지 못하고 몸이 굳어진 리철봉을 불러앉힌 최현은 안해의 건강은 좀 좋아졌는가, 아들애가 좋아하는가, 휴식은 어떻게 했는가를 두루 묻고나서 본론에 들어갔다.
《철봉이는 군복을 입은 후로 여태 해군에만 있었지?》
《그렇습니다.》
《땅우에선 별로 싸워보지 못했지?》
《그럴 기회가 없었습니다.》
《지형이라는건 말이요, 사람의 얼굴처럼 간데마다 제마끔인데 그래서 지형을 리용한 싸움법도 천태만상이야. 어떤 의미에선 차지한 지형을 누가 먼저 파악하고 그것을 유리하게 리용하는 전술을 누가 먼저 쓰는가에 따라 적아간의 승패가 결정된다고도 할수 있지.》
리철봉은 《민족보위상동지, 제가 해군사령부 참모장이라는것을 잊으신게 아닙니까? 지상전에 대한 강의는 왜 갑자기…》하는 말이 목구멍까지 올라왔으나 진지한 그의 눈길앞에 그런 말을 꺼내기가 서슴어졌다. 최현은 리철봉의 마음속을 들여다본것처럼 이야기했다.
《난 동무에게 무슨 전술강의를 하자는건 아니고… 항일무장투쟁시기에 이 최현이 죽다 살아난 이야기를 하나 하자고 그래. 어떻소? 휴양소의 달밤에 옛말을 듣는것두 괜찮지?》
리철봉은 영문도 모르고 앉아서 최현의 《옛말》을 듣게 되였다.
《…
그게 아마 간삼봉전투가 있은 직후인데
최현이 여기까지 이야기했을 때 곁에 앉아있던 김철호가 뒤를 달았다.
《…그때 난
…원래
최현과 김철호의 빨찌산이야기는 밤이 새도록 계속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