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6 회)
제 4 장
붉은 단풍계절
5
(2)
그러시고는 신인하부부장에게 오늘중으로 인민군협주단에서 영화시사회를 조직하여 모든 창작가, 배우들이 예술영화 《한 간호원에 대한 이야기》를 다 보도록 해야 하겠다고 말씀하시였다.
신인하부부장이 즉시 대책을 세우겠다고 보고드리는데 출입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울리더니 김량남이 조용히 들어와 인사를 올리였다.
《아, 왔구만! 그래 〈도주병〉은 붙잡아왔습니까?》
김량남이 방금 평양철도국에서 수속을 끝내고 데리고 오는 길이라고, 지금 문밖에 서있다고 말씀올리였다.
《그럼 데리고 들어와야지, 어서 들어오라고 하시오.》
모두의 의아한 시선이 몰박힌 출입문으로 철도제복을 입은 아련한 처녀가 머리를 폭 수그리고 들어섰다. 어디라없이 허리숙여 인사를 드리고
고개를 들던 처녀의 입에서 《아!》하는 탄성이 울려나왔다. 인민군협주단 창작가들도 놀랐다. 그러나 그들보다 더 놀란것은 바로
《아니, 이게 누구요? 진포역에서 헤여졌던 차장동무가 아니요?》
일껀 굳어졌던 설아의 얼굴에 밝은 기운이 확 피여올랐다.
차장차의 침대모서리에 앉아 철길구간의 레루상태에 대하여 깐깐히 묻고 수첩에 적어넣으시던 그분께서 자기앞에 서계시였다. 진포역구내에 점도록 서시여 차장차의 꽁무니가 굽인돌이를 돌아설 때까지 손을 흔들어주시던 잊지 못할 그분께서 자기에게로 다가오시였다.
《량남동무가 어떤 재사를 데려오는가 하고 궁금해했더니 구면친구를 데려왔구만! 하하하… 세상에 이런 일두 다 있다니!》
쏘파모서리에 불안스럽게 앉은 설아를 편히 들여앉히고 차탁우에 놓인 하얀 사기고뿌에 보온병의 더운물을 따라주며 아직도 놀라움과 서먹함에 허둥거리는 처녀의 얼굴을 다정히 바라보시였다.
《여기엔 다 동무와 낯익은 사람들인데 긴장해하지 말고 어서 물을 드시오. 그래 설아동무는 그동안 무대가 그립지 않았습니까?》
무대… 하고 설아는 조용히 입속으로 외워보았다.
진성이의 얼굴을 잊어버리려고 애쓸 때에도 그것만은 정녕 순간도 잊어본적 없는 불밝은 무대…
홀로 차장차의 란간에 서서 끝없이 뻗어나간 레루들을 오선지로 그려보고 일매지게 가로놓인 침목들을 피아노의 무한한 건반처럼 마음속으로 눌러보며 입속으로 조용히 노래를 부를 때마다 눈물겹게 그립던 무대…
몸은 내렸으나 마음은 항상 서고 밟아보고 날아오르던 무대…
《어떤 사람들은 무대에 대한 예술인들의 애착을 비속화해서 〈마약〉이라고까지 말하는데 그것은 잘 몰라서 하는 말이고…》
《예술인들은 인간의 본성인 감정과 인간에 의하여 창조된 음악예술이
정설아는 떨리는 눈으로
처녀의 해쓱해진 얼굴과 가쯘한 웃이발로 질끈 깨여문 입술은
《말씀은 고맙지만 저는…》
연약한 흐느낌이 터졌다. 울자고 생각한것은 아니였는데 자기가 아닌 딴사람이 우는것처럼 저절로 눈물이 줄럭줄럭 쏟아져내렸다.
《설아동무의 심정은 알만합니다. 하지만 동무는 다른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동무에겐 아무런 문제도 없소. 왜냐하면 동무는 이러저러한
곡절을 거쳐서 살아왔지만 조국에 돌아온 후
설아는 산더미처럼 쌓아올린 설음과 괴로움, 착잡하고 풀기 어려운 수수께끼들이
이 시각에 설아는 자기앞에 앉아계시는분의 인간에 대한 정과 믿음이 얼마나 크고 강하며 그것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기이하고 복잡한
인간문제들을 얼마나 명백하게, 얼마나 단호하게 풀어낼수 있는것인지, 그러나 그러한 믿음을 생의 좌우명으로, 신념으로 간직하기 위하여서는 얼마나
그러나 설아는 분명코 자기가 새로운 인생의 무대로 오르는 첫 계단에 발을 내짚었음을 또렷하게 의식했다. 광휘로운 조명등이 자기를 향해 렌즈를 돌리고있었다.
《저는 꿈에도 군복을… 입고싶었습니다. 무대에 다시 서고싶었습니다.》
설아의 가느다란 목소리가 아니, 그의 끓어번지는 넋이
《그럴줄 알았습니다.》
《설아동무, 여기 동무네 지휘관들도 와있지만 인민군협주단에서는 이제 곧 새로운 〈피바다〉식혁명가극을 창조하게 됩니다. 우리 인민군군인들을 당과
《설아동무, 동무는
설아는
이 세상에 자기 혼자밖에 없다고 생각했던 설아였다.
어머니와는 헤여지고 아버지는 찾지 못하고 인생길에 불꽃처럼 튀여올랐던 사랑과는 멀어지려 애썼던 자기, 울어도 등을 두드려줄 손이 없고 웃어도 기뻐해줄 사람이 이 세상에는 없다고 그처럼 외로웠던 설아였다. 무엇이, 과연 그 무엇이 자기의 인생을 이렇게 뒤집어놓았는지 당장은 생각해낼수 없었지만 아버지도 어머니도 최진성이도 지금 이 순간에 자기와 함께 있는것만 같았고 풍랑속에 떠내려가며 하늘을 향해 맥없이 허우적거리던 손에 든든한 거목의 기둥이 와닿은것만 같았다.
그것은 죽어도 다시는 놓지 못할 생의 지탱점이였다.
《마침 협주단 피복수리소에 동무의 군복치수가 있어서 옷은 꼭 맞게 지었을거요.》
설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