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6 회)
제 3 장
봄의 의미
7
(3)
세월은 류수라더니 칠흑같던 머리카락 한복판의 가리마를 따라 희끗희끗한 서리가 설피게 앉았다. 흘러간 세월도 세월이지만 남편을 따라 농촌에 내려와서 자진 농사일을 한다니 이래저래 고생도 많을것이다.
《최광동지가 어디 가셨습니까?》
《한 열흘전에 북천에 있는 자동차공장으로 떠났다우. 예비부속품때문에 노상 나가살지요. 자체로 생산기지를 꾸린다는데 이제 자동차공장에만 갔다오면 웬만한 부속품들은 만들수 있는가봐요.》
《아마 군대차들이 부속이 없어서 군경내에 자꾸 멎어서는 모양인데 그걸 보구 그냥 지나치질 못해서 일판을 벌려놨지요.》
인민군당 제4기 제4차전원회의 확대회의가 있은 후 차부속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고있지만 아직 그 수효를 다 충당하지 못하고있다. 군대차들에 차부속이 모자라게 된 원인을 누구보다 잘 아는 최광이 이런것을 그저 지나칠리가 없다.
몸은 비록 자그마한 농촌군의 차사업소에 내려와있어도 총참모장시절의 마음을 잃지 않고 군대운수사업의 걸린 고리를 하나라도 풀어보자고 애쓰는 최광의 얼굴이 금시 보이는것만 같으시였다.
김옥순은
《그런데 글쎄 어떤 사람들이 령감더러 이제는 총참모장도 아닌데 자기 맡은 사업이나 잘하라고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차사업소지배인이 국가물자를
가지고 제 낯내기를 한다고 뒤말들을 더러 하는 모양이예요. 내 그래서 령감을 단단히 비판했지요. 그런 쓸데없는 소리에 마음 흔들리지 말고 일단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야 한다구요. 부속품을 자체로 만든 다음에야 군대차에 넣든 사회차에 넣든 이게 다
김옥순은 문득
《하하하… 어머니가 아주 말씀을 잘하셨습니다. 빨찌산시절처럼 그렇게 이따금 비판을 하기도 하고 받기도 하면서 재미나게 사셔야 합니다.》
《부엌을 거두지 못해서… 방에 들어가 앉아계세요. 내 얼른…》
《어머니, 갑자기 제앞에서 무슨 내우를 하시면서 그럽니까. 저야 이전에도 오다가다 댁에 들려서 〈어머니, 시원한 김치 한그릇 좀 주십시오.〉 하면 선자리에서 사발에 푹 퍼담아주는 김치물을 달게 마시군 했는데 오늘도 그저 집에서 자시던대로 한그릇 얻어먹읍시다.》
나무가 바른 고장이여서인지 한구석에는 아궁에 먹이다가 남은 짚검부레기와 당년초가지들이 푸설푸설하게 흐트러졌는데 얼핏 눈에 띄우는것은 자그마한 찬장과 그옆에 기대여세운 망돌 한짝, 수지다반을 덮어놓은 오지독 두개와 상보를 씌운 네모밥상뿐이였다.
《식량은 이게 답니까?》
《저… 저는 농장에 나가다보니 가을분배를 받을 때까진 아직… 하지만 일없습니다. 아무렴 쌀고장에서 밥을 굶겠습니까.》
그러니 최광이 국가에서 받는 식량을 가지고 두사람이 살림을 하고있는셈이다. 그나마 고지식한 최광이 출장을 떠날 때마다 꼭꼭 량표를 떼가지고가겠으니 집안에 쌀이 모자랄수밖에 없을것이다.
문득 해방직후에
과연 이것을
누구 한사람이라도 여기에 와보았다면, 이 쌀독을 열어보았다면…
동무들, 동무들은 이분들이 어떤분들인지 모른단 말인가?!
이들은 지난날 조국과 혁명을 위하여 청춘과 생명을 내걸고 싸운 투사들이다. 이런분들이 있어 오늘 동무들이 당일군도 하고 혁명도
하고있는것이다. 그런데 혁명가는 고사하고 인간의 도리로 보아도 이들의 생활을 어떻게 수수방관할수 있는가. 혹시 동무들은 최광동지의 내외가 높은
직위에서 철직되여 내려왔다고 하여 그들을 꺼리는것은 아닌가. 사랑하는 전사들에게 아픈 매를 드신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