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4 회)
제 3 장
봄의 의미
3
(2)
양복저고리를 벗어놓으신
그러고보면 저 누운향나무는 우리 집 향나무가 아닌것이 적실하군.
그러면서도 한껏 호기심이 동하는것을 어쩔수가 없었다.
추녀가 건듯이 들린 청기와지붕아래 창문마다 조선식살창을 단 2층가옥은 넓다란 마당에 세워놓은 정원등이며 차가 들어올수 있게 만든 커다란
대문이며 벽돌을 쌓아놓은것처럼 무늬를 꾸민 울타리우에까지 청기와를 곱게 얹은 품이 필경 보통살림집같지는 않은데 대체 어떤 중요한 집이기에
이때 나무를 부려놓은 차를 뒤로 물리시던
《아, 최현동지가 오셨구만요!》
《먼길에 수고를 하셨습니다. 얼굴색이랑 퍽 좋아지신걸보니 온천물이 몸에 맞았던 모양입니다.》
《예. …》
《최현동지가 보내준 산천어를 당중앙위원회에서 함께 일하는 우리 동무들이랑 정말 맛있게 들었습니다. 난 그 산천어를 보면서 그렇게 먼곳에 가서도 저를 잊지 않고 마음쓰는 최현동지에게 어떻게 인사를 할가 하고 계속 걱정했습니다.》
《과하신 말씀입니다. 제 원체 나이가 조금만 더 젊었어두 산천어만이 아니라 사슴까지 한놈 잡아오는건데…》
《아니, 거기 료양소골안에 사슴이 다 있더란 말입니까?》
《있다뿐이겠습니까? 제가 꽁무니를 물고 굴밑에까지 갔댔는데요. 벼랑이 하도 높아서 더 근접을 하지 못하긴 했습니다만…》
《사슴이 굴에서 산다는 말은 처음 듣습니다. 그게 혹시 사향노루가 아닙니까?》
《글쎄… 뿔이 없는걸 봐선 노루같기도 하구… 점이 박힌걸 봐선 사슴같기도 한데…》
최현이
《이거 주인의 승낙없이 나무까지 떠와서 정말 안됐습니다. 오진우동지가 제손으로는 못하겠다고 나가넘어지길래 제가 손을 대고말았는데 나무는 아마 별일없을겁니다.》
최현이 의아해하는데 대문안으로 오진우와 김철호가 들어섰다.
《아니, 당신은 또 왜 왔나?》
최현의 물음에 김철호는 대답대신 손으로 입을 가리며 고개를 꺾었다.
《안주인이 제 집에 왔는데 왜 왔는가가 뭡니까? 이게 바로 최현동지의 집입니다.》
최현은 꿈쩍 놀라
오진우는 최현의 꼿꼿한 눈살을 피하느라고 모자를 벗어 이마전을 가리며 2층가옥의 높은 추녀를 능청스럽게 올려다본다.
《최현동지,
그러시고는 원래 새집은 바깥주인보다 안주인의 마음에 먼저 들어야 한다고 하시며 김철호를 부축하여 먼저 집안으로 들어가시였다.
저켠에서 딴전을 피우고 서있던 오진우가 최현의 곁으로 다가왔다.
《그사이 여기에 몇번이나 나오셨댔는지 모릅니다. 장판지의 색갈이랑 도배지의 문양이랑 하나하나 직접 골라주셨지요. 어제두 이사짐을 다
실어오면서 뜨락에 심은 향나무를 떠오지 않았다는걸 아시구 품을 들여서라두 꼭 떠와야 한다구 곱씹어 당부하시길래 내가 군인들을 데리구
나왔댔습니다.
최현은 오진우쪽을 더 바라보지 않고 말없이 집안으로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