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 회)
제 1 장
눈내리는 겨울
2
(2)
얼마전부터는 편지에 도간도간 처녀소리도 끼여들었다.
이제는 스물일곱이니 친한 처녀도 생겼음직한데 왜 일언반구 말이 없느냐, 녀자를 고를 때는 인물도 봐야 하지만 마음이 기본이니라, 학력이나 가정환경도 물론 놓치지 말아야 하고…
어머니의 지나친 관심과 요구가 더러 거북하기도 했지만 일일이 다 기억하지도 못할 그 많고많은 조항들속에서 진성은 애잡짤한 혈육의 정을 애틋하게 느끼군 하였다. 이번에 걸음을 한것도 어머니를 만나 협주단처녀와 알게 된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내친김에 장래문제에 대한 허락까지 받고싶어서였다.
그런데 집보다 먼저 협주단쪽으로 마음이 쏠리는것은 어인 일인가.
키워준 부모정을 다 잊고 벌써 녀자쪽에 마음이 기울어지는것인가.
최진성은 이런 죄의식비슷한 감정때문에 인차 작정을 하지 못하고 한참이나 궁싯거리였다. 그러다가 문득 의젓한 군관이 도시 한복판으로 북통을 메고다니는것은 어느모로 보나 점잖지 못한 일이라는것, 그렇기때문에 먼저 협주단에 들려 처녀에게 북통부터 넘겨주고 집으로 가는것이 옳을것이라는 아주 합리적인 리유를 찾아냈다.
협주단이 자리잡고있다는 송신방향으로 가자면 대극장앞까지 걸어가서 교외뻐스를 타야 했다. 어쩔수없이 배낭을 다시 메고 북통끈을 들어올리는데 먼발치에서 누군가 자기를 부르는듯한 느낌이 들었다. 사위를 둘러보니 모두들 바쁜 걸음을 옮기는 사람들뿐이고 길 건너켠에 멎어선 승용차안에서 누군가 자기를 향해 손을 젓는것이 보였다.
《동갑이!-》
귀에 익은 음성을 듣는 순간 진성은 한쪽어깨에 배낭끈을 걸치고 북통은 가슴에 그러안은채 허금지금 길을 건너 달려갔다.
차에서 내리신
《옳구만. 미타하다 하면서두 찾아봤는데 진성동무가 옳아! 하긴 내가 동갑이 얼굴을 잊었을리야 없지. 듣자니 군관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전연에 나갔다지?》
최진성은 감격에 겨운듯 말도 못하고 고개만 흐덕이다가 이내 몸가짐을 바로잡았다.
《당중앙위원회에서 사업하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찾아뵙자찾아뵙자하면서두 이젠 어려워서…》
《어서 타오. 집으로 가는 길이겠지?》
최진성은
《이러지 마십시오. 제가 어떻게… 그리고 전 집이 아니라 인민군협주단부터 가야 합니다.》
《협주단에?》
《그렇다면 마침이요. 그러지 않아도 내 지금 볼일이 있어 그 방향으로 나가던 참인데… 회포두 나눌겸 함께 가기요.》
최진성은
《넌 누구니?》
《어떻게 여기에 있니?》
재차 물으셨으나 이번에도 입술만 실룩거리면서 종이테프를 엇가로 붙인 손바닥만한 뙤창을 내다볼뿐이였다.
《넌 몇살이가?》
《열살!》
고수머리가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그럼 나하고 동갑이구나!》
동갑이라는 말이 그 무슨 《친척》이라는 말이기라도 한것처럼 머룩머룩하던 소년의 눈에 생기가 확 돌았다. 초면친구의 딱딱한 마음을
《동갑이》로 퉁겨놓으신
《그런데 넌 어디서 왔니?》
총각은 대답대신
《우리 집 뒤산에두 이런 꽃이 많아.》
《집이 어디게?》
《경상도 함양. 지리산밑이야.》
《그런데 네 이름은 뭐니?》
《박-진-성! 바가지 박이야. 그런데…》
고수머리는 쭈밋쭈밋하더니
《날 여기 데려온 최광이라는 군관아저씨가 난 이제
《걱정말어. 성은 고치지 않아도 돼!》
《정말?!》
동갑이의 눈에는 불꽃같은것이 반짝 빛났다가 인츰 사그라졌다.
《그걸 네가 어떻게 아니?》
아무래도 자기또래밖에 안되여보이는 소년의 장담이 미덥지 않은 모양이였다.
《우리한테두 너같은 아이들이 많아. 하지만 성을 고친 애들은 없어. 바가지 박이든 바구니 박이든 우린 다
《동갑친구》의 말이 무슨 뜻인지 몰라 머리를 갸웃하고 눈을 깜빡거리던 고수머리는 마침내 무릎을 탁 쳤다.
《아하, 그러니까 너도
《맞아, 바로 맞혔어. 나도 너와 같애!》
진성은 저의 생각이 신통히 들어맞은것이 즐거운듯 《동갑친구》의 어깨를 한팔로 껴안고 긴 목이 휘친거리도록 웃어제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