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7 회)

제 4 장

49

(2)

 

첫눈이 내릴무렵 피창린이 군당위원장과 같이 왔다. 그간 건설력량을 더 보충해주어 살림집건설은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있었다.

피창린은 그렇다고 하여 건설대 대장을 조금도 칭찬하지 않았다. 오히려 더 다그어댔다.

《건설대 대장, 겨울전으로 몇세대나 입사할수 있소?》

그는 자기를 맞이한 건설대 대장에게 물었다. 대답을 듣고나서 그는 말했다.

《너무 늦잡아, 너무 꾸물거린단 말이야.》

건설대 대장은 욕먹는것이 불만스러운지 땅바닥을 내려다보기만 했다. 피창린이 군당위원장에게 말했다.

《식당에 가보기오.》

식당에 가서 그는 건설자들이 무엇을 먹고있는가, 부식물이 충분히 보장되는가 하는것을 알아보고 군당위원장을 책망하였다.

《돼지고기와 닭알, 남새가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있소. 동무는 여기에 몇번이나 나와봤소? 건설자들이 어떻게 먹고 일하는지 알아보군 하오?》

도당위원장은 일군들의 협의회를 소집하고 건설의 속도가 완만하고 질이 낮은데 대하여 비판했으며 일련의 대책을 세워주었다. 떠나기에 앞서 박기석이에게 건설자들이 농장에 페를 끼치지 않는가고 물었다.

《물밖에 신세지는것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가만있겠습니까?》

건설대 대장이 농장에서 지원사업을 많이 하고있다고 했다. 그것은 응당 그래야 했기때문에 피창린은 아무 말도 없었다.

날이 벌써 어두워졌다. 승용차에 타려고 하던 피창린이 문득 생각난듯 박기석이에게 말했다.

《그 농산기수처녀 잘 있소? 만나보고 가야지.

내가 그 처녀와 인연이 좀 있소.》

《지금 저녁식사하려고 합숙에 가있을것입니다.》

피창린은 군당위원장, 리당위원장, 건설대 대장, 박기석들을 뒤에 달고 미순이를 찾아갔다.

그는 다른 사람들은 밖에서 기다리게 하고 관리위원장 박기석과만 같이 합숙방에 들어갔다.

녀성호실은 훌륭하게 꾸려져있었다. 담벽에는 함박꽃을 수놓은 홰대보를 치고 책상우에는 싱싱한 생화를 꽃병에 꽂아놓았는데 아마 과수반의 온실에서 가져온듯싶다. 책상우의 책꽂이에는 《김일성선집》들과 농업과학기술서적들, 소설책들이 질서있게 꽂혀있었다. 걸상에는 방석을 깔았다. 방바닥은 장판우에 노란 콩기름을 먹여 알른알른했다.

피창린과 인사를 나누고 마주앉은 미순이는 실내복을 입고있었는데 세면을 하고 크림을 발랐는지 향기가 은근히 풍기고있었다.

《혼자 적적하지 않소? 》

도당위원장이 물었다.

《괜찮습니다. 좀 있으면 동무들이 놀러 옵니다.》

《방바닥은 차지 않은데 식사질은 어떻소?》

미순이가 호호 웃었다.

《저는 농민의 딸이고 지금도 농민입니다. 저는 밥에 된장과 파만 있으면 됩니다.》

피창린은 허허 웃었다.

《어쨌든 객지생활이 불편하겠지. 집생각은 나지 않소?》

《왜 집생각이 나지 않겠습니까? 어머니와 아버지가 나이많은걸요. 하지만 각오하고 이곳에 진출하지 않았습니까?》

도당위원장은 자기도 미순이의 아버지를 만나보았다고 하면서 《원화협동농장에는 좋은 농민들이 많소. 그래서 수상동지께서도 동무를 〈원화처녀〉라고 애정을 담아 부르셨지.》하였다.

미순이는 행복스러움과 자랑에 넘친 미소를 지었다. 얼굴이 환해져 더 아릿다워졌다.

《정말이지 저는 복받은 농산기수입니다.》

《〈평남일보〉에 난 미순동무에 대해 쓴 기사를 보았소?》

미순이는 수집어할뿐이였다.

피창린은 창동리에 자리잡은 이상 뿌리를 깊이 내려야 한다고 하면서 좋은 청년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도록 하라고 권고했다.

《관리위원장동무도 동무의 개인문제에 관심이 크더구만.》하며 피창린은 옆에 앉아있는 박기석이를 돌아보았다.

《제가 좋은 청년을 알선하겠습니다.》

박기석이 장담하여 나섰다.

미순이는 붉어진 얼굴을 숙일뿐 대답을 하지 않았지만 그들이 다 고마웠다. 미순이는 강철수를 더러 추억하군 했지만 미련은 이미 버린 상태였다.

피창린도당위원장은 미순이에게 부모님들에게 편지를 자주 하는가 묻고 박기석에게는 다시 처녀의 생활을 잘 돌봐줄것을 부탁하고 자리에서 일어섰다.

그들이 마당에 나서는데 미순이에게 놀러 오는 마을처녀들이 떠들썩하며 나타났다.

미순이는 아버지에게 긴 사연이 담긴 편지를 보냈다. 아버지로부터 이내 회답이 왔다.

《미순이 보아라.

얘야, 너의 편지를 나와 네 어머니는 눈물속에서 몇번이나 거듭 읽었다. 너의 편지가 오기전에 〈평남일보〉에 네가 수상님을 만나뵙고 치하받은 내용과 농촌에 용약 진출한 사실을 소개하는 내용이 실려 마을사람들이 다 보았고 우리도 보았다만 네가 직접 쓴 편지를 받고보니 눈물을 걷잡을수 없구나.

장하구나, 내 딸아! 수상님께서 내 딸을 그처럼 높이 평가해주시니 꿈만 같구나.

봄에 우리 농장에서 몇사람이 수상님께 생신날 인사를 드리러 갈 때 나도 같이 갔었다는 이야기를 이미 편지로 알리였다만 우리 부녀는 수상님께서 알고계시는 복받은 농민들이 되였다.

미순아, 수상님께서 가르쳐주신대로 열두삼천협동농장을 훌륭한 농장으로 발전시키는데 몸을 아끼지 말아라.

그리구 여기 고향에 있는 부모걱정은 아예 하지 말아라. 여기도 그곳도 다 수상님의 품에 안겨있는 너의 고향이다. …》

편지에 적힌 삐뚤삐뚤한 글을 읽으며 미순이는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으로 가슴이 벅차올랐다.

최동익이와 김혜영이한테서도 련명으로 된 편지가 왔다.

그들은 편지에서 《평남일보》를 통해 모든 사연을 다 알게 되였다고, 원화마을사람들은 미순이의 행복을 원화협동농장의 행복으로 인정하면서 모두 자기 일처럼 기뻐한다고 썼다.

《미순동무, 미순동무는 이 동익이가 뜨락또르를 몰고 원화리에 와서 만났을 때의 그 순진하고 귀엽기만 하던 처녀로부터 오늘은 평남도가 다 아는 사회주의농촌건설의 선구자로 성장하였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것은 땅에 대한 애착이라고 우리는 생각하오. 땅에 대한 애착이 뜨거운 사람만이 농촌에 깊이 뿌리를 내릴수 있지 않겠소?》

최동익의 부부는 어제날의 원화리처녀에게 이와 같이 썼다.

 

되돌이
감 상 글 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