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9 회)

제 9 장

7

(2)

 

통강냉이를 안친 가마에서는 아직 씩씩 김오르는 소리만 났다. 통강냉이가 물그러지도록 익자면 한참이나 끓여야 한다.

이틀째나 죽물도 맛보지 못한 장군님께 저 통강냉이 죽물이나마 마음놓고 대접할 시간이 있겠는지?

칠팔년세월 만난을 겪으며 피흘려 싸워왔던 항일전의 수만리길에 이런 난국이 가로막히다니…

길림에서부터 같이 싸움에 나선 사람들중에 남은것이 장군님과 나밖에 없는데 어쩌면 장군님께서 이런 어려운 시각에 의식을 잃고계신단말인가?

이제라도 장군님께서 두발을 딛고 일어나시여 이 엄혹한 난국을 헤치시지 못한다면 원정대의 운명은 여기서 끝장을 보게 될것이고 조선혁명도 영원한 종말을 고할는지 모른다.

그렇게 생각하자 조왈남은 저도 모르게 설음이 북받쳐 어깨를 떨며 흐느끼기 시작하였다.

《젊은이, 젊은이.》

등뒤에서 누군가 조용한 목소리로 달래듯이 찾았다.

조왈남은 솟구치는 눈물을 참을수 없어 그대로 흐느끼면서 젖은 눈을 쳐들었다.

언제 들어왔는지 바깥에서 장작을 패고있던 산막의 로인이 장작을 한아름 안고 측은하게 내려다보고있었다.

《젊은이, 대체 무슨 일로 그리 슬퍼하오?》

조왈남은 황황히 눈물을 씻고 허옇게 센 눈섭밑에서 웅심깊게 빛나는 로인의 동정어린 눈을 넋없이 바라보았다. 옷도 중국사람식으로 해입고 말도 중국말을 하기에 중국사람인줄 알았는데 뜻밖에도 발음이 똑똑한 조선말로 묻는것이 아닌가.

조왈남은 어리둥절하여 미처 대답할 말을 찾지 못하고있는데 늙은이는 안고있던 장작개비들을 내려놓고 그것을 깔고앉았다.

《속이지 않으면 못사는 이 세상을 같이 속이면서 살아가자니 중국사람 허울을 쓰고 지내오지만 나도 실은 조선사람이요. 내게도 젊은이또래의 자식이 있소. 젊은이가 우는걸 보니 남의 일같지 않아서 그러는데 상관없는 늙은이가 쓸데없이 참견한다구 생각지 말구 속상한 일이 있거든 이야기하오.》

조왈남은 늙은이의 두손을 끌어잡고 눈물을 떨구었다.

아버님, 어떻거면 좋습니까. 우리는 동만에서 북만으로 원정왔던 조선인민혁명군부대입니다. 원정을 마치고 동만으로 돌아가던 걸음인데 사처에서 달려드는 토벌대놈들의 추격에 들어 이지경이 되였습니다. 사방은 다 막히고 토벌대놈들은 악착스레 달려듭니다.

아무리 생각해야 빠져나갈 길은 없고 갈수록 형편이 막막하여 원통하구 기가 차서 그럽니다.》

《그게 적실한 소리요? 젊은이들이 동만에서 넘어온 조선인민혁명군부대라는게? 어서 한번 더 대답하오. 내 딱히 알고싶어 그러오.》

《그렇습니다. 저희들이 동만에서 넘어온 조선인민혁명군부대입니다. 북만땅에서 두달동안 왜놈들을 족치며 큰 싸움을 벌렸습니다. 아버님께서 혹시 우리 소식을 듣지 못하셨습니까? 우리는 그새 경박호와 남호두, 소구, 대구, 마록구, 녕안촌, 삼도하자, 이도하자, 팔도하자 등지에서 왜놈 〈토벌대〉들을 무리로 쓸어눕히고 인민들과 눈물겨운 상봉을 했습니다.》

《아, 이렇게도 귀한분들을 여기서 만나다니.》

늙은이는 한량없이 솟구쳐오르는 감격을 선소리처럼 토하고나서 하던 말을 이었다.

《아무리 인가를 멀리 벗어난 심심산골 목재판이래두 동만유격대가 북만땅에서 왜놈치고있다는 소식은 바람처럼 날아오고있소. 어허, 못된놈의 세상, 못된놈의 왜놈종자들이 이제야 풍지박산이 나는갑다 이렇게 외우며 산판사람들이 떠들썩 했다오. 그게 오죽한 사변이라고 무심해들 있겠소. 그런데 동만에서 넘어온 유격대를 김일성장군님께서 이끄시고계신다는 소식이 있던데 장군님은 어데 계시고 젊은이들만 이리로 흘러왔소. 이게 어찌된 일이요?》

늙은이는 조왈남의 팔소매를 잡고 흔들어대면서 대답하기를 채근하였다.

조왈남의 눈에서는 눈물만 떨어질뿐 좀체로 입은 열려지지 않았다.

아무리 믿고 의지하고싶은 로인의 앞이래도 장군님께서 중환에 계신다는 그 말만은 입밖에 번지고싶지 않았다.

아버님, 그런건 묻지 말아주십시오. 그런건… 저는 대답을 못하겠습니다.》

《이러지 마오. 제발 부탁이요. 늙은이의 소원이요. 장군님께서 어찌 되셨소. 내 귀한 자식이 장군님의 큰 덕을 입고 유격대에 들어갔소.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느라면 덕을 입기도 하고 덕을 입히기도 하는것이지만 내가 입은 덕은 이 세상에서 누구나 함부로 입지 못하는 큰 덕이였소. 내 자나깨나 장군님을 생각하구 장군님 안녕만을 빌어온 늙은이니 달리 생각 말구 곧이곧대로 대답해주오.》

그 순간 조왈남의 흐느낌소리는 더욱 높아지고 그 몸의 진동은 처절하기 이를데 없었다.

아버님, 웃방에 누워계시는분이 김일성장군님이십니다. 우리 장군님만이라도 구원해주십시오. 우리는 열번 백번 죽는데도 두렵지 않습니다.》

로인은 수염속에 입을 하 벌리고 산자가 얼기설기 드러난 천정을 망연히 올려다보았다.

아궁에서는 불이 빨려드는소리가 후룩후룩 들리고 지게문으로 새여드는 바람이 로인의 허연 수염을 후르르 날렸다.

《이런 변이라구야.》

로인은 세상없는 고통을 가슴에 안은듯 절통하게 부르짖었다. 로인은 손으로 부엌봉당을 짚고 가까스로 일어났다. 뿌드득하고 무릎마디에서 뼈가 으깨지는 소리가 났다. 로인은 지축거리며 한걸음한걸음을 운명의 시간처럼 재이며 걸어갔다.

《원, 이런 변이라구야. 세상에 이런 변이 어디 있담.》

로인은 그저 한모양으로 같은 말을 몇십번이고 되풀이하였다.

장군님앞에 이른 로인은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그이시건만 정중히 무릎을 꿇고 큰절을 드렸다.

장군님, 비록 험한 심산속에 버러지처럼 살아가는 인생이언만 내 나라의 백성된 도리로 장군님앞에 무릎을 꿇었습니다. 이 늙은이의 큰절을 받아주십시오.》

김로인은 목이 메였다. 눈에서는 굵은 눈물이 삿자리를 적시며 후둑후둑 떨어졌다. 생각할수록 기막히고 눈물겨운 일이 아닐수 없었다. 로인의 입에서는 저도 모르게 목메이는 설분이 터져나왔다.

장군님, 어쩌다 이런 변이 생겼습니까. 나라잃은 이 나라의 숱한 백성들이 남의 나라 지경에 흘러들어와 세상없는 수모와 업심을 받으며 허구한 날 서럽게 살아가면서도 장군님께서 계시여 빼앗긴 나라를 다시 찾고 2천만 우리 동포가 머리 들고 살날이 있으려니 그 한가지 희망만을 간직하고있는데 장군님께서 이렇듯 무거운 중환에 드셨으니 이 나라의 불쌍한 백성들은 이제 어찌한단말입니까?》

한번 로인의 가슴을 열어헤치고 쏟아지기 시작한 눈물은 벌써 옷자락을 흥건히 적시고 삿자리밑으로 스며들어 봉당냄새를 일으켰다.

김로인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장군님의 불돌같이 달아오른 손을 잡고있었다.

방금전에 조왈남이가 더운 물로 닦아드린 그이의 손에서는 김이 피여오르고있었다.

장군님, 장군님!》

김로인은 무엇을 딱히 어떻게 해야 하리라는 질정도 없이 한모양으로 장군님을 찾았다. 그러나 장군님께서는 응대가 없으시였다. 모자를 벗지 못한 그이의 머리밑에는 목침이 고여있었다.

로인은 장군님의 언몸에 손을 더듬어보았다. 아직도 한기가 느껴지는 장군님의 옷자락은 드문드문 축축하게 젖어있었다.

로인은 새삼스레 가슴이 쓰리고 목이 메였다.

세상모르는 백성들은 한겨울의 추위를 피해 뜨뜻한 아래목에 몰켜앉아 장군님이야기로 흥성거리고있을것이지만 이런 수고를 겪으시는 장군님에 대해서야 상상이나 할수 있을것인가? 가난한 이 나라 백성들이 장군님의 신상에 미친 이 화단을 안다면 몸으로 성을 쌓아서라도 추위를 막고 적탄을 막고 한점 온기들을 모아 장군님의 언몸을 녹여드리려 할것이다.

김로인은 번쩍 고개를 들었다.

눈물이 아직 그대로 고여있는 로인의 눈에는 무서운 결기가 어려 번뜩이고있었다.

《젊은이.》

김로인은 생전에 한번 그래보지 못한 비장하고 강개한 결심을 품고 아궁앞에서 지금껏 눈물을 흘리고있는 조왈남을 찾았다.

로인의 목소리가 하도 청청하고 비장함에 깜짝 놀란 조왈남이 애써 울음을 참고 방으로 올라왔다.

《너무 걱정들 마오. 맥을 놓지 말고 장군님을 위해드릴 생각들을 해야 하오. 내 비록 늙은 몸에 힘은 없소만 장군님의 큰 덕을 입고사는 이 나라 백성된 도리로 한몸을 내대고 장군님을 구할 생각이요.》

아버님, 고맙습니다. 진정 이 은혜를 어떻게 갚으면 다 갚아드리겠습니까?》

조왈남은 로인의 두손을 움켜잡고 어쩔바를 몰라하였다.

《이제 한 삼사십분후이면 이 목재소주인놈이 이리로 올거요. 화등방이라는놈인데 그놈을 붙잡아가지구 무사히 빠져나갈 작정을 해야겠소.》

조왈남은 귀가 번쩍 띄였다. 그는 날개가 돋힌듯이 밖으로 뛰여가며 한흥권중대장을 찾았다.

 

되돌이
감 상 글 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