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2 회)

제 7 장

4

(1)

 

1933년 8월말, 김일성동지께서는 오의성사령에게 조중련합부대의 대무력으로 동녕현성을 공격할것을 건의하시였다.

인민혁명정부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민주주의적개혁들을 철저히 수행하고 혁명을 추진시키려면 대무력으로 적의 《토벌》거점들을 소탕하여 근거지에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는것이 중요하였으며 련합작전을 통하여 이미 기초가 마련된 조중련합전선을 강화하면 반일성전을 일대 고조에로 이끌수 있고 근거지방위에도 유리한 력량관계를 조성할수 있었다.

오사령은 이에 정중하게 동의하면서 련합군의 총지휘권을 장군님께 양도한다는것과 자기는 직속부대와 함께 로흑산일대에서 련합작전의 후위를 담당하겠다는것을 밝혔다.

오의성은 장군님의 힘을 빌어 동녕현성을 공격하여 승리한다면 련합전선에 동의한 자기 위신이 높아져 그것이 곧 채려장을 누르는 계기로 될수 있으리라고 타산하는것 같았다. 그리고 그 승리를 통하여 부대의 전투사기를 높이고 월동물자를 해결하자는 속심도 보였다.

동녕현성을 치는데는 채려장도 동의하였다.

장군님께서 오사령의 회답을 받자 왕청유격대들을 주력으로 하고 훈춘, 연길의 유격대들에서 일부 부대들을 불러 동녕현성을 공격하기 위한 대부대를 편성하시였다.

조중련합부대가 서로 도우며 장거리행군을 하여 동녕현성부근의 야산들에 이르니 우쑤리강 저쪽 씨비리평원으로부터 이국의 선기를 품은 써늘한 바람이 불어왔다.

9월 6일 21시, 유격대의 서산포대공격으로써 련합작전이 개시되였다.

장군님께서는 유격대가 서산포대를 점령하자 조중련합군에 총공격명령을 내리시였다.

동녕현성의 성벽밖에서 때를 기다리던 사려장부대와 채려장부대의 기본력량은 남문으로, 채려장부대의 나머지 력량은 동문으로 일시에 공격해들어갔다.

장군님께서 직접 령솔하시는 유격대의 기본력량은 서문을 돌파하고 성안으로 달려들어가 길을 사이에 두고있는 왜놈들의 수비대병영과 위만군의 련대병영을 순식간에 포위하고 화력으로 놈들의 행동을 제압함으로써 남문과 동문으로 돌입한 구국군부대들의 공격에 결정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마련하여주었다. 구국군부대들은 이제 시가의 동쪽지구에 성글게 배치된 얼마 안되는 헌병대와 경찰무력을 격파하면 시가의 중심으로 돌입하여 승리의 개가를 올릴수 있었다. 전투를 이렇게 조직한데는 구국군들의 전투사기를 높여주시려는 장군님의 깊은 뜻이 깃들어있었다.

유격대부대들은 장군님의 뜻을 실현하기 위해 적의 기본주력을 포위해놓고 힘에 겨운 전투를 벌렸다. 왜놈들의 수비대병영을 포위한 부대가 발악적으로 저항하는 놈들을 화력으로 소멸하고있을 때 위만군련대병영을 포위한 부대는 강력한 화력전으로 포위를 뚫기 위한 그들의 반돌격기도를 파탄시키면서 함화공작을 들이대였다. 적지 않은 희생을 낸 치렬한 화력전끝에 기가 꺾인 위만군련대는 유격대가 제기한 담판에 응했다.

장군님께서는 신변의 위험을 무릅쓰시고 친히 위만군대표를 만나 일제의 총알받이로 되여 개죽음을 당하지 말고 당신들과 같은 동포인 저 의로운 구국군들의 뒤를 따라 왜놈들에게 총부리를 돌리라고 절절하게 호소하시였다. 위만군대표는 장군님의 호소에 눈물을 머금고 호응해나섰다.

그리하여 전장에는 결정적으로 유리한 형세가 조성되게 되였다. 그러나 이때 시가의 동쪽지구에서는 심상치 않은 사태가 벌어졌다. 채려장부대가 사려장부대의 익측에서 제멋대로 떨어져나가 위만군장교관사들에 달려들어 불을 지르고 재물들을 략탈하기 시작하였다. 그것이 위만군병영에 알려지자 왜놈들에게 총부리를 돌리겠다던 위만군련대는 다시 저항해나섰다. 위만군 1개 대대는 지하통로로 빠져나가 령사관거리와 남문거리의 교차점에 배치된 왜놈들과 합세하였다. 그리하여 그 교차점부근의 건물들에 중기관총들을 배치하고 남문거리를 따라 진격해들어오는 사려장부대에 반타격을 가할 준비를 갖추고있던 적진에는 력량이 배로 증강되였다.

사려장부대에는 엄중한 위험이 닥쳤다.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사려장부대는 남문거리를 따라 적을 정면으로 공격할것이 아니라 뒤골목의 장애물들을 리용하면서 좌측으로 우회하여 공격해야 하였다. 채려장부대는 략탈을 즉시 중지하고 남문거리우측으로 우회하여 교차점의 적을 익측으로부터 타격함으로써 위험에 직면한 사려장부대를 구원하여야 하였다.

장군님께서는 이를 위하여 구국군에서 와서 대기하고있는 두 련락병을 급히 파견하시였다.

두 련락병이 길을 뛰여건너가 어둠속에 사라지자 그이께서는 곧 유격대의 력량으로 사려장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취하시였다.

그이께서는 시가의 서북쪽 일각에서 군수공장을 점령한 부대가 공격방향을 꺾어 동쪽으로 진출하여 령사관거리와 남문거리의 교차점에 배치된 적의 익측을 타격하도록 하시였다. 그리고 수비대병영과 위만군병영을 포위한 부대들에서 일부 력량을 떼내여 그에 합세시키는 추가적인 조치를 더 취하시였다.

사려장을 지원하기 위한 부대들이 움직이는것을 보신 다음에야 그이께서는 현정부의 옥상으로 올라가시였다.

옥상에 오르니 서늘한 바람기가 느껴지시였다. 우쑤리강쪽으로부터 불어오는 선기를 품은 눅눅한 바람이 초연을 날라왔다.

장군님께서는 벽돌굴뚝옆에 서시여 바람에 옷자락을 날리시며 마지막싸움이 끓어번지고있는 전 시가를 둘러보시였다. 유격대가 점령했던 군수공장쪽에서는 대화재의 불길이 밤하늘을 불사르며 황황 타오르고있었다. 그 불길에 벌겋게 물든 하늘에서는 번개치듯 시퍼런 화광이 번뜩이였다. 뒤따라 하늘땅을 뒤엎어놓는듯 한 둔중한 폭음이 터져오르고 시뻘건 불덩어리들이 하늘로 날아올랐다.

채려장의 방향인 성시의 한끝 저 멀리 동문거리쪽의 어둠속에서는 산발적인 총성이 간간이 들려왔다. 역시 채려장의 방향인 남문거리의 동쪽지구에서는 시뻘건 불길들이 처처에서 날름거리고있을뿐 총소리나 폭음은 별로 들려오지 않았다. 그곳은 문제로 된 위만군장교들의 관사지구이다. 채려장은 아직도 략탈행위에 매달려있는것인가? 장군님께서는 안타까움에 가슴이 바작바작 타드는듯 하시였다.

사려장의 방향에서는 전투가 격렬하게 벌어지고있었다. 그 부대는 남문거리의 서쪽지구에서 벌써 적의 종심으로 깊이 뚫고들어갔다. 그쪽에서는 총소리들이 끓어번지고 폭음이 우뢰쳐올랐다. 맞총질하는 불빛들과 박격포탄과 수류탄들이 터지는 화광에 건물들의 지붕이며 불타는 벽체들, 폭풍에 날아오르는 물체들이 언뜻언뜻 드러났다. 사려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시가의 중심을 동서로 가로지른 령사관거리를 따라 진출하는 유격대의 방향에서도 총소리들이 끓어오르고 화광이 번개쳤다. 그러나 채려장의 방향만은 의연히 잠잠하였다.… 련락병들이 떠난지 1시간반이 지나도록 그 방향에서는 아무런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 련락병들이 와야 실태를 알아보겠는데 웬일인지 그들도 돌아오지 않았다.

 

되돌이
감 상 글 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