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6 회)
제 6 장
2
(2)
이튿날 이른아침 사처의 망원초들에서 적의 침습을 알리는 검은 봉화들이 타올랐다.
왜놈들은 셋째섬방향과 대왕청어귀, 뾰족산방향으로 일시에 공격해들어와 유격대병력이 이전에 배치되였던 고지들로 접어들었다. 이것은
장룡산은 골짜기를 따라 누렇게 기여드는 왜놈들의 행군종대를 내려다보며 중대를 이끌고 숲속을 누벼나갔다. 참나무숲이 무성한 나지막한 산등성이에 올라선 그는 중대를 전투대형으로 산개하려고 지형을 돌아보다가 이끼오른 진대나무뒤에서 웬 사람의 그림자가 움쭉 일어나는것을 보고 놀라서 걸음을 멈추었다.
썩은 진대나무통을 두손으로 짚고 이쪽을 노려보는 그 사람은 권일균이 틀림없었다. 어디에서 딩굴었는지 구겨지고 찢어진 옷은 흙투성이가 되였고 독기어린 얼굴은 푸들푸들 떨고있었다.
장룡산은 그자의 눈빛을 보고 모든것을 깨달았다. 그자는 자기 정체가 드러났는가 어쨌는가 기미를 알아차리려고 산속을 헤맨것이 분명하였다.
(더러운 놈, 끝내 내 손에 걸려들었구나!)
장룡산은 입안에 쓰거운 열물같은것이 도는것을 느끼며 놈을 무섭게 쏘아보았다. 그는 골짜기로 행군해들어오는 왜놈들때문에 소리를 치거나 총소리를 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하며 한걸음 또 한걸음 다가갔다.
괴괴한 숲속에는 거치른 숨소리와 발자욱소리만 높았다.
권일균은 왜놈들의 군화발소리가 진감하는 골짜기를 홱 내려다보더니 산짐승처럼 수풀속을 꿰질러 그쪽으로 달려내려가면서 단말마적인 함성을 내질렀다.
장룡산은 가슴에서 터져오르는 증오에 온몸이 확 불타올라 앞뒤를 가리지 않고 뒤쫓아가다가 나무가지들사이에서 언뜻거리는 놈의 잔등을 내쏘았다. 놈은 길길이 뛰여오르는듯 하더니 수풀속에 구겨박혔다.
인민들의 증오를 담아 놈에게 철추를 내린 총성은 골짜기에 메아리치고 왜놈들은 그 소리를 듣고 미친듯한 함성을 내지르며 달려올라왔다.
때문에 장룡산은 적의 익측과 배후를 기습할수 없게 되였다. 그리하여 기본진지의 유격대부대들은 예견했던것보다는 불리한 조건에서 전투에 진입하게 되였다.
그리하여 천험의 요새를 이룬 근거지의 산봉우리, 험한 산기슭, 깎아지른듯 한 벼랑우로부터 밀려드는 왜군들의 누런 무리들에 불소나기가 쏟아졌다.
전령병이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시는
전령병은 불붙는 수풀속과 자욱한 초연속을 헤매며
적의 공격이 중지되면
어느날 밤
장룡산의 몸에서는 시큼한 땀냄새가 풍겼다.
《그게 뭐요?》 하고
생활에서 엉뚱한데가 있는 장룡산은 인차 대답하지 않고 땀이 배여 눅눅해진 신문지를 풀었다. 신문지안에서 네모반듯하게 접은 붉은 천이 나왔다. 광택이 흐르는 천이였다.
《이게 무슨 천이요?》
《
《어디서 구했소?》
《왕청시가의 포목상과 련계를 맺고있는 지하조직동무들을 통해서 구했습니다.》
《좋소, 아주 좋소! 이걸로 기발을 큼직하게 만들어 하늘에 척 띄워 펄펄 날리면 얼마나 보기 좋겠소! 동무가 어떻게 기발감을 구해올 생각을 다했소?》
장룡산은 분에 넘치는 치하의 말씀에 흐뭇한 미소를 머금으며 수염털이 꺼실꺼실한 턱밑을 슬슬 쓸어만졌다.
《어떤 사람들은 아직도 제가 곰이나 범하고 씨름하던 장포리인가 해서 미욱하게 여기지만 저한테두 세밀한 구석이 있습니다. 허허허…》
그 롱말에
이윽고 장룡산의 눈에 심각한 빛이 어리였다.
《
장룡산의 목소리는 잦아들며 웅심깊게 울렸다.
《이 천을 품고 사령부로 걸어오면서 저는 정말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지난날 총을 잘 쏘면 똑 제일인줄로 알고 우리 혁명로선을 깊이 알지 못했기때문에 권일균이같은 종파쟁이들이 쏘베트바람을 일으키는것도 철저히 반대해 투쟁하지 못했습니다.
저희들이 똑똑했더라면
《동무는 오늘 정말 좋은 생각을 많이 했소. 그렇소. 조국이 광복되면 여기서 하던 경험에 기초해서 정권기관들을 세우고 운영해야 하오. 때문에 여기서 올리는 인민혁명정부의 기발은 조국의 미래를 상징하는 기발이기도 하오.》
그를 돌려보내신
리재명은 기발천을 책상우에 펴놓고 상다리밑으로 흘러내린 천의 한쪽귀를 조심스럽게 만져보며 흥분된 목소리로 말했다.
《대단합니다. 이 기발을 띄우면 온 천지가 더 환해지겠습니다!》
흥분하면 과장병이 심해지는 리재명의 이런 소리에
이튿날아침 재봉소에서 붉은기발 두폭을 제꺽 만들었다. 리재명이 그 기발 하나를 토목양복속에 품고 림성실이와 함께 쌍암촌으로 떠나갔다.
장룡산은 큰 경사를 맞은듯 새 군복에 새 신발을 신고 노상 벙글거리며 쌍암촌으로 떠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