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4 회)
제 2 장
4
(2)
마촌에 돌아오신
그러나 사태가 이 지경에, 이런 파국적인 위기에 이르렀으리라고는 상상 못하시였다.
눈길을 밟는 소리만이 밤의 정적을 조용히 흔들었다.
마을은 고요에 묻혀있었다. 눈보라가 집집의 울타리밖이며 나무가리옆에 눈을 한길이나 되게 쌓아올렸다. 길바닥의 눈은 바람이 말끔히 쓸어가 사람들의 발에 다져진 자리만이 달빛에 희미하게 번들거렸다
고삭아서 후줄근하게 처져내린 처마의 그림자가 드리워 침울하게 보이는 문들도 있고 새 동기와지붕의 빳빳하게 쳐들린 처마밑에 달빛을 받아 환한 문들도 있으며 불빛이 발기우리하게 어린 방문들도 있다.
사람들의 얼굴모습처럼 서로 다른 그 문들은 한없는 기대에 차서
저 문들안에서는 가슴에 피멍이 들게 고생살이를 하며 각이한 운명의 길을 걸어온 사람들이 아이들과 안해와 부모들을 옆에 눕혀놓고 살아갈 걱정을 하다가 시름많은 가슴을 펴지 못한채 쪽잠이 들었을것이다. 어찌 보면 그 모든 집집의 방문들에서는 그들의 요구와 주장과 희망이 숨쉬고있는듯 하였다.
(인민들의 요구가 혁명의 구호로 웨쳐지며 혁명이 참되게 인민대중을 위한것으로 되게 한다면 혁명은 몇몇 사람의것이 아니라 인민대중
현당의 일부 사람들은 근거지안에서는 사회주의혁명을 해야 한다고 그릇되게 주장하면서 쏘베트를 통하여 《공동생활》, 《공동경작》을 실시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인민들이 그것들을 기쁘게 받아들이는가, 마지못해 받아들이는가, 반감을 품고 받아들이는척만 하고있는가에 대하여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고려하지 않았다. 혹심한 주관주의에 사로잡혀 몇몇 사람의 의지면 못해낼 일이 없을것 같이 여기고 인민들의 리익, 인민들의 념원, 인민들의 감정과 생활풍습까지도 무시하면서 좌경적인 쏘베트로선을 내휘둘렀다. 리재명이같은 사람들은 인민들의 심정을 대변하려고 하였다가 그들로부터 강박을 당하였다.
그들은 인민들에 대하여 소경이였으며 인민들은 자기들의 심정을 알아주지 않는 그들을 자기네와는 다른 사람들로 여기고 반신반의하면서 간격을 두고 대하게 되였다. 눈에 보이지 않고 가슴속 깊은 곳에서 서서히 맺혀진 티끌만 한 이 하나의 문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혁명과 인민대중의 뉴대에 금이 가고 혁명의 대중적지반이 흔들리우는것과 같은 엄중한 사태가 생겨났다.
쏘베트로선의 제창자들은 여태 이런 엄중한 후과가 빚어지고있는것을 모르고있었는가? 알면서도 모르는척 했는가?
그들은 발생하는 후과들에서 교훈을 찾을 대신 왜 그토록 험악하게 놀아났는가? 무식으로부터 다른 나라 혁명의 경험을 통채로 받아들여 쏘베트로선이 옳다고 믿었기때문에, 《정의감》에 불타서 그토록 광분하였는가? 종파적야심때문인가? 근거지를 해치려는 의식적인 리적행위인가? 고의적인 리적행위라면 문제는 간단히 서며 해결하기도 훨씬 쉬울것이다.
그러나 쏘베트의 일군들속에는 혁명이라는것은 이렇게 하는것인가 하여 쏘베트로선을 적극 지지하고 그 집행을 위하여 헌신분투한 사람들이 많지 않는가. 과거에 피눈물을 삼키며 살아온 소박한 인민들속에도 못마땅한것은 울며겨자먹기로 참으면서 왜놈이 없고 지주놈이 없는 정치라고 쏘베트를 진심으로 떠받든 사람들이 많지 않는가.… 한가지나 두가지 원인이 아니라 크고작은 그리고 뚜렷하기도 하고 희미하기도 한 여러가지 요인들이 하나로 뒤엉켜 이런 사태를 빚어낸것이 분명하다.
좌경적편향이 심하게 나타난 지방들에 나갔다온 동무들이 리적행위라고 규탄하며 부르짖던 말들이 귀전에서 쟁쟁히 울리였다.
(그럼 주동인물들은… 조직적인 제거란 말인가?)
푸르스름한 달빛이 흐르는 하늘에서 별들이 흠칫 움츠러들며 얼어붙는듯 하였다.
(우리는 새형의 공산주의자들이다!)
그러면 근거지에 처음으로 정권을 세우고 아무런 경험도 없이 그 정권을 운영해보는 과정에 생긴 과오로, 이를테면 세상에 갓 태여난 아기가 앓는 소아병과 비슷한 하나의 좌익적인 소아병으로 보고 조심스럽게 고쳐나갈것인가?
마을에 며칠째 고요가 계속되였다. 그 고요속에서 밤마다 마을을 거니시는
그것은 비상한 침묵이였으며 류다른 고요였다. 사람들로 하여금 반성케 하고 사색케 하고 자각하고 헌신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침묵이며 고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