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111(2022)년 8월 26일 《우리 민족끼리》
《걱정》에 대한 생각
오늘도 나는
군의부문 전투원들이 떠나간다는 소식을 어느새 전해듣고 거리에 나와 작별의 아쉬움에 젖어 전투원들을 바래우면서 할머니는 악성전염병사태가 조성되였던 나날을 더듬어보며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처음엔 이것저것 걱정이 앞섭디다. 그때 령감이 말하더군요. 〈우리
걱정,
외워볼수록 참으로
그것은 비단 그 할머니의 집에서만 오고간 이야기가 아니였다.
직면한 보건위기상황을 하루속히 역전시키고 방역의 안정을 회복하며 우리 인민의 건강과 안녕을 수호하는것은 우리 당앞에 나선 가장 중차대한 도전이고 지상의 과업으로 된다고 하신
우리 당이 있고 우리 사회주의제도가 있는데 걱정할것이 무엇이랴.
걱정이라는 말을 의미해볼수록 지난 세기 엄혹했던 고난의 나날 대홍수로 혹심한 피해를 입었던 신의주시에서 있은 이야기가 되새겨진다.
그무렵 수해지역을 돌아보던 한 외국인은 허물어진 집터에서 만난 팔십고령의 로인에게 모든것이 파괴되고 모든것이 떠내려갔는데 앞으로 살아갈 길이 막막하지 않은가고 동정어린 어조로 물었다고 한다.
그때 로인의 입에서는 어떤 대답이 나왔던가.
《막막하다니? 우린 그런 걱정 안하우다. 우리
준엄했던 전화의 나날 전략적인 일시적후퇴의 길에서
흐르는 세월속에 강산도 변하고 세대도 바뀌건만 대대로 변함없는 신념의 대답, 이 나라의 어느 집 문을 문득 열고 들어서서 물어보아도 누구나 꼭같이 터칠 인민의 한목소리-《우리에게는
정녕 어려울수록, 힘겨울수록 우리 인민의 가슴에 더욱 뿌리깊이 내린것은 자기
려영경